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글 스니펫이 되면 좋은점, 트래픽을 쓸어가는 스니펫.

by 한입정리1 2024. 3. 11.
1. 구글스니펫의 장점
2. 스니펫 되는 방법
3. 정의구글스니펫 맞춤전략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니 "스니펫에 노출되면 트래픽이 많다~ 스니펫 노출을 노려야한다~스니펫은 SEO가 따로 있다." 등등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 접하게 된다. 도대체 스니펫이 뭐지? 오늘은 내가 궁금해서 찾아본 스니펫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다. 구글 스니펫이란 일반적인 구글 검색 결과와는 다르게 최상단에 위치되서 설명 형식으로 표시되는 상자를 말한다. 스니펫의 뜻 자체는 '작은 조각'이라는 뜻을 가졌는데 정보들의 조각 조각들이 모여있는 것으로 이해를 할 수 있다. 스니펫은 일반적으로 URL, 콘텐츠 제목, 세부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경쟁자를 초월할 수 있는 구글스니펫의 장점

    구글 스니펫에 노출된다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좋은 장점은 아마 제일 많은 클릭을 받는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검색결과의 최상위에 나의 글이 뜨기 때문에 나와 비슷한 키워드를 쓰고 있는 다른 경쟁자를 초월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볼 수 있다. 나 같은 경우도 3페이지 이상 검색을 잘 안할 정도로 귀찮으니까 그냥 맨 위에 뜨는 글이나 제품을 클릭하게 된다. 구글 스니펫은 검색엔진에서 맨 상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검색엔진 결과 중 제일 많은 클릭을 받게 된다. 구글 첫 페이지 랭킹에서 1위를 하지 않더라도 그냥 0순위로 최상위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구글 스니펫의 장점은 바로 이 엄청난 트래픽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 트래픽이 비즈니스에서도 굉장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서 구글에 인스타그램 마케팅 뜻이라는 검색어를 쳐보면 한 마케팅대행사가 구글 스니펫을 차지한 걸 볼 수가 있다. 구글스니펫을 먹고 있는 이 글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마케팅 대행사의 웹사이트로 넘어가게 된다. 인스타그램 마케팅 뜻을 찾는 사람은 온라인 마케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 마케팅 대행사가 타겟하고 있는 손님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정보를 보러 왔다가 마케팅을 공부하기 위해 강의 서비스를 이용해 볼 수도 있기에 구글스니펫은 엄청난 마케팅효과를 볼 수 있다.

     

    2. 스니펫이 되려면 일단 첫페이지에 들자

    하지만 구글 스니펫이 되기는 쉽지 않다. 나도 제발 한번만이라도 내 글이 스니펫에 올라왔으면 좋겠다. 스니펫이 되기 위해서는 나의 블로그가 먼저 첫페이지에 랭킹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구글에서 순수하게 Organic search로 검색했을 때 나의 웹페이지가 해당 키워드에 대해서 첫 페이지까지 올라와야 노려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글 스니펫을 노리기 전에 먼저 자신의 컨텐츠가 첫 페이지에 검색 결과에 나오는지 또는 TOP10 안에 들어올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먼저 검토를 해 봐야 한다. 구글 스니펫을 두고 경쟁하는 대상은 거의 대부분이 첫 페이지에 이미 올라와 있는 페이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내가 지금 노리는 키워드로 첫 페이지까지 올라오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구글 스니펫을 노릴 게 아니라 첫 페이지에 어떻게 올라올지부터 연구를 해야 된다는 말이 된다. 만약에 타겟으로 잡은 나의 콘텐츠 키워드가 검색 TOP10 안에 또는 첫 페이지에 들어오게 된다면 이제 구글 스니펫을 차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지 먼저 살펴보고 가능성이 높은 컨텐츠부터 수정을 해서 구글 순위를 높이는 것을 노려야 한다.

     

    3. 정의 구글 스니펫이 되기 위한 맞춤 전략

    구글 스니펫이 될 가능성이 높은 키워드부터 리스트업을 하고 나면 노리는 구글 스니펫이 어떤 유형인지 알고 그에 맞는 전략을 짜야한다. 구글 스니펫에는 다양한 유형의 스니펫이 있지만 오늘은 정의 구글 스니펫에 대해 알아보겠다. 정의 구글 스니펫의 경우, 키워드가 특히 중요하다. 뭐 당연한 얘기지만 정의 구글 스니펫에 주로 나오게 하는 키워드들은 뭐뭐란 ?뭐뭐의 뜻과 같은데 예를 들면 "구글 seo 뜻은?", "구글광고 캠페인이란?" 등과 같은 뜻을 찾는 키워드가 주로 정의 스니펫으로 묶인다. 정의 구글 스니펫을 노릴 거라면 지금 노리고 있는 바로 그 키워드로 구글 검색을 해보고 그다음에 현재 최상단에 나오고 있는 구글 스니펫보다 훨씬 더 잘 써야한다. 그렇다면 더 잘 쓴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더 잘쓴다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50 단어 이하의 적절한 길이로 할 것.

    둘째, 설명하는 문장 속에 관련 키워드를 포함할 것.

    셋째, 구글이 쉽게 정의 설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단락의 구조를 짤 것.

     

    지금 마지막에 말하는 세 번째 같은 경우는 구글이 '이 부분이 정의를 설명하는 부분이구나.' 라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구조를 말한다. 정의를 설명하는 부분을 확실히 해주는 것인데 예를 들어 '구글 seo 뜻' 이라는 소제목을 넣고 그 소제목 바로 밑에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이 소제목 부분에는 H2 태그를 써서 확실히 구글에게 '이게 정의를 설명하는 부분이야.'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오늘은 이렇게 구글스니펫의 장점과 스니펫 되는 방법, 그리고 정의구글스니펫 맞춤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정의스니펫과 리스트스니펫, 테이블스니펫과 관련질문스니펫도 공부해봐야겠다. 

     

    구글 스니펫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