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험,교육,직장

2025 어린이 통학버스 동승자교육 신청 | 온라인 3시간 이수

by 한입정리1 2025. 3. 26.

어린이 통학버스를 책임지고 운행하거나 운전하시는 분, 그리고 차량에 동승하여 아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어린이 통학버스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교육은 단순한 권장이 아니라 도로교통법에 명시된 법정 의무교육이기 때문에 

정해진 기간 안에 수강하지 않으면 과태료 8만 원이 부과될 수 있는데요. 

운전자나 운영자뿐만 아니라 동승 보호자도 교육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 꼭 기억하셔야 해요. 

교육은 신규 교육과 정기 교육,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처음 관련 업무를 시작하는 경우엔 신규 교육, 이미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계신 분은 2년에 한 번씩 정기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교육을 받으셨다면, 2026년 안에는 다시 정기 교육을 이수하셔야 하지요. 

그럼 신청은 어디서 하느냐, 많이들 착각하시는데 도로교통공단이나 통합민원 홈페이지가 아니라

'교통안전교육센터'라는 별도 사이트에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교통안전교육센터 / 어린이통학버스 안전교육)

 

 

출처: 교통안전 교육센터 홈페이지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뒤 상단 메뉴에서 ‘직무교육’을 선택하고, 그 안에 있는 ‘통학버스’ 과정을 클릭하면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후에는 교육 수료까지 30일의 수강 기간이 주어지며, 강의는 총 3시간 분량의 온라인 교육으로 진행돼요. 

집이나 사무실에서 시간 나는 대로 들을 수 있어서 별도로 기관을 방문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는 아이들이 타는 통학버스를 직접 운전하거나 운영하고 있나? 또는 차량에 동승하며 안전을 챙기고 있는가?”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기한 안에 교육을 마치셔서 과태료 등 불이익 없으시길 바랍니다~!

 

 

목차

     

    1. 통학버스안전교육 인터넷 수강신청

    앞서 말씀드렸듯, 어린이 통학버스를 운행하시는 분들은 교통안전교육센터 홈페이지에서 안전교육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 > 상단메뉴 중 '직무교육' 클릭 > 하위메뉴에서 '통학버스' ] 순서로 선택하면 바로 수강신청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출처: 교통안전 교육센터 홈페이지


    수강신청은 언제든지 가능하지만, 신청일 기준 30일 안에 교육을 완료해야 하니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 이수방법 >

    1️⃣ 로그인을 클릭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아직 가입을 안 하신 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진행해 주세요. 


    2️⃣ 직무교육에서 수강을 희망하는 과정을 클릭합니다. 

     


    3️⃣ 신청하신 과정은 나의 강의실 > 학습현황 > 학습중인 과정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나의 강의실 > 학습현황 > 학습중인 과정에서 강의실 입장을 클릭하세요. 

     


    5️⃣ 시험의 경우 수강을 100% 완료하시면 하단의 시험보기를 클릭하여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6️⃣ 나의 강의실 > 학습현황 > 학습 종료 과정으로 이동하여 수료증을 출력합니다. 수료증은 PDF 파일 형태로 저장이 가능합니다. 

     


    교육은 온라인으로 3시간 진행되며, 시험에서 60점 이상을 받아야 수료가 되므로 내용은 꼼꼼히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교육내용은 실제 운행 시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린이들의 행동특성과 통학버스 관련 법령, 실제 사고 사례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2. 운영자, 운전자, 동승보호자란?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 누가 언제 받아야 할까요? 

    ✅ 통학버스 안전교육 교육주기
    ✔️ 신규 교육은 시작 전에 무조건!
    처음 어린이 통학버스 관련 업무를 시작하는 분들은 반드시 신규 안전교육을 먼저 이수하셔야 합니다. 

    운전자든, 동승 보호자든, 운영을 하든 간에 시작 전에 한 번은 꼭 듣고 가야 해요. 

    ✔️ 정기 교육은 2년에 한 번!
    신규 교육을 받고 나면 끝이 아니고 이후부터는 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 교육을 받았다면, 2026년 12월 31일까지는 다시 이수하셔야 해요. 

    기존에 발급받은 수료증에 보면 ‘차기 교육기간’이 적혀 있으니까 꼭 확인해보셔야겠지요. 

    아무래도 안전 기준이 계속 바뀌고, 새로운 사고 사례나 법령도 생기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육이 필요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 태우는 일이니만큼 늘 조심 또 조심해야 하니까요. 

     

    통학버스 안전교육 교육주기


    ✅ 통학버스 안전교육 교육대상
    ✔️ 교육 대상은 생각보다 더 넓어요! 

    단순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만 해당되는 게 아니고, 어린이를 통학시키는 차량을 운영하거나 운전하는 모든 기관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유치원, 초등학교, 어린이집, 특수학교, 학원, 체육시설, 아동복지시설, 청소년수련시설, 장애인복지시설, 공공도서관, 평생학습관, 사회복지시설 등등… 

    아이들 타는 차량이 있는 곳이라면 모두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통학버스 안전교육 교육대상


    ✅ 통학버스 교육대상 용어정의
    ‘운영자, 운전자, 동승보호자’라고 단어만 보면 다 비슷비슷해 보이는데, 실제로는 역할도 다르고, 법적으로 의미하는 범위도 꽤 명확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 운영자는,
    통학버스를 운영·관리하는 책임자로, 경찰서에 통학버스 신고를 할 수 있는 자를 말합니다. 

    주로 유치원장, 학원장, 시설 대표 등이 해당됩니다. 

    ✔️ 운전자는,
    통학버스를 직접 운전하는 사람으로, 계약된 직원뿐 아니라 실제로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모든 사람이 포함됩니다. 

    신고여부와 관계없이 "실제운행여부"가 기준입니다. 

    ✔️ 동승보호자는,
    운영자가 지명한 성인으로, 통학버스에 탑승해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보호 조치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통학버스 교육대상 용어정의


    📍요약하자면,
    운영자는 관리자/신고 책임자,
    운전자는 직접 운전하는 사람,
    동승보호자는 지정된 성인 보호자. 

    즉, 신고된 사람만 교육 대상이 아니라, 실제로 그 역할을 하는 사람은 모두 해당된다는 사실! 

     

     

    3. 통합버스 안전교육 행정처분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은 법으로 정해진 의무교육이다보니, 이수를 하지 않을 경우 "8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특히 보통 이런 교육은 책임자나 운전자만 해당될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동승자까지 포함된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통학버스안전교육 미이수 과태료

     
    ✅ 통학버스 안전교육 관련법령
    • 도로교통법 제53조의3 (어린이 통학버스 운영자 등에 대한 안전교육)
    •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1조의2 (어린이 통학버스 등의 운영자 등에 관한 안전교육)
    •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37조의2 (어린이 통학버스 등의 운영자 등에 관한 안전교육) 

     


    지금까지 2025 어린이 통학버스 동승자교육 신청 방법과 함께 인터넷 수강신청, 교육주기, 행정처분 관련 내용까지 정리해드렸습니다. 

    운영자, 운전자, 동승보호자 모두 2년에 한 번씩 꼭 이수해야 하니, 잊지 말고 온라인으로 신청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어린이통학버스 안전교육 교육주기

     

    반응형